작성일 : 22-05-19 10:35
보존·해설·전시까지 모두 내 일… 고문헌은 그냥 책이 아니니까 [공무원 어디까지 아니]
   https://go.seoul.co.kr/news/newsView.php?id=20220511022001 [389]

▲ 이정희 학예연구사가 10일 경상국립대 고문헌도서관이 소장한 자료를 살펴보고 있다. 고문헌도서관은 경남 지역 고문헌을 수집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하면서 지역문화 계승에 이바지하는 걸 목표로 2018년 문을 열었다.
경상국립대 제공

(23)이정희 경상국립대 학예연구사

꼬챙이 꿰여 비 맞던 고문서 보고
관리 필요성 느낀 뒤 사서로 시작

한학 하신 분 근래 많이 돌아가셔
고문헌 가치 모른 채 소장만 많아

기증받기 어려워 10년간 설득도
번듯한 도서관 생기니 인식 변해

생산된 곳에 있어야 한단 원칙에
기증자 타 대학에 연결해 주기도

경남 진주시에 자리잡은 경상국립대에는 다른 곳에선 볼 수 없는 두 가지가 있다. 경남 지역에서 만들어진 고(古)문헌을 수집하고 보존하는 고문헌도서관과 고문헌을 전문으로 담당하는 도서관 학예연구사가 바로 그것이다.10일 만난 이정희 학예연구사는 고문헌도서관이 소장한 방대한 중요 고문헌을 소개하며 “경남 거점 국립대인 경상대가 지역에서 생산된 고문헌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연구해서 알리는 것이야말로 대학이 지역에 이바지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사는 “경남에는 아직까지도 방대한 고문헌들이 제대로 연구가 안 된 채 흩어져 있다”며 “고령화와 도시이주로 소중한 자료가 흩어지고 소멸하기 전에 하나라도 더 많은 자료를 수집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고문헌도서관 자체를 생소하게 느끼는 사람이 많을 듯하다.

“경남 지역 문중이나 서원에 가면 고문서나 목판인쇄물 같은 역사 기록물이 많다. 근래에는 한학을 하던 분들이 많이 돌아가시면서 고문헌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는 사람이 거의 없다. 고문헌을 갖고만 있을 뿐이지 가치를 제대로 알아보지 못하는 게 현실이다. 보존도 잘 안 되고 무엇보다 도난 위험도 크다. 고문헌 10만점을 보유한 도서관을 기반으로, 기록관의 보존 기능과 박물관의 전시 기능을 결합한 ‘라키비움’ 개념을 도입해 복합문화공간으로 2018년 문을 열었다.”

-고문헌 전문도서관으론 전국 최초인 건가.

“경상국립대 고문헌도서관은 전국에서 처음으로 고문헌을 전문으로 수집하고 관리하고 공개하고 있다. 최초라는 것도 중요하지만, 고문헌도서관 자체의 의미도 크다. 국립대학이라는 자산을 활용해 흩어져 있는 고문헌을 기증받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며 교육과 연구에 활용하는 거점이라고 할 수 있다. 초기엔 경남 서부권에 있는 고문헌에 집중했지만 점차 경남 전체로 활동 영역을 넓히고 있다. 고문헌 보존관리 전문가 채용도 논의하고 있다.”

-경남이라는 특색도 있을 듯하다.

“조선시대 경상도는 경상좌도와 경상우도로 구분됐다. 서울을 기준으로 경상우도는 대체로 낙동강 서쪽, 경상좌도는 낙동강 동쪽이었다. 경상좌도와 우도는 성리학 학풍에도 차이가 있다. 경상좌도는 퇴계 이황의 영향이 강하고 경상우도는 남명 조식 학풍이 강하다. 이황과 조식 모두 16세기 활동했던 대학자들이었는데 이황 학맥은 남인, 조식 학맥은 북인으로 이어졌다. 인조반정 이후 북인이 몰락하면서 경상우도 선비들은 남인이나 노론으로 분화됐다. 그러다 보니 경상우도의 학문적 다양성이 커졌다.”

-지역적 특성이 고문헌도서관 운영에도 영향을 주었겠다.

“지역의 고유한 학풍과 자부심이 있다. 서부 경남 문화권의 가치를 지키기 위한 의지가 고문헌도서관으로 이어졌다고 할 수 있다. 서부 경남 고문헌 기증자들은 다른 지역에 있는 대학이나 연구기관에 기부하는 걸 꺼린다. 자연스럽게 경상국립대 고문헌도서관이 서부 경남 고문헌 수집과 기증의 중심지로 자리잡게 됐다. 가령 산청군에 살았던 단계 김인섭이 13세 되던 1839년부터 77세가 될 때까지 64년간 썼던 일기가 있는데, 19세기 농촌사회 모습과 민관 갈등을 생생하게 알 수 있다. 지역민의 관점을 담은 고문헌을 지역에 뿌리를 둔 국립대에서 보존하고 연구하면서 지역사회가 더욱더 풍성해진다.”

-전국 대학에서 유일한 고문헌 학예연구사라는 것도 독특하다.

“보통 대학 도서관에서는 고서실을 설치해 사서가 담당하는데 경상국립대 고문헌도서관은 학예연구사를 두었다. 학예연구사는 보통 대학 박물관에서 근무하고 고고학이나 미술사 전공자가 많다. 고문헌은 단순한 도서 이상의 가치를 갖고 있기 때문에 사서 역할뿐 아니라 자료 보존과 관리, 해석과 전시자 역할도 필요하다. 현재로선 내가 전국에서 유일한 고문헌 학예연구사이지만 앞으로 고문헌 학예연구사가 많아져야 한다.”

-곳곳에 흩어져 있는 고문헌 수집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데.

“예전에는 기증을 꺼리는 분들이 많았다. 무엇보다도 조상들한테 물려받은 걸 지키는 것이 종손으로서의 의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기증 하나 받으려면 수시로 찾아가서 인사도 하고 전화도 자주 하며 몇 년씩 공을 들여야 했다. 한문 해독을 못 해 고문헌을 갖고 있기만 할 뿐 제대로 관리하지 못하는 것보다 고문헌도서관에서 관리하는 게 조상들의 뜻을 잇는 더 좋은 방법이라는 걸 계속 설득하고 있다. 기증을 원하는 이들을 초청해 관리와 활용 실태를 설명하고 기증자를 널리 알리는 것도 중요한 활동이다. 예전엔 잘 관리할까 의구심을 갖는 사람도 많았지만 번듯한 도서관 건물이 생기니 인식이 많이 좋아졌다.”

-활동 무대가 꽤 넓을 듯한데.

“경남 곳곳을 다닌다. 문중을 찾아다니며 보관법 상담도 해 주고 소장하고 있는 자료의 역사적 가치도 설명해 준다. 그런 활동을 계속하다 보면 기증으로 이어지곤 한다. 고문헌을 들고 직접 찾아오기도 한다. 진주 태생의 유학자 출신 독립운동가의 수제자 후손으로 지금은 울산에 사는 분이 있는데, 10년 동안 기증을 권유한 끝에 상담을 받겠다고 해서 찾아뵐 예정이다. 경남 지역 고문헌인데 후손이 서울 등 외지로 이주한 경우도 있는데 그런 분들에게 ‘고문헌은 그 문헌이 생산된 지역에 있는 게 좋다’고 설득하곤 한다. 예전에 전북 전주에 있는 고문헌 소장자가 기증 의사를 밝힌 적이 있는데 전주에 있는 대학을 연결해 준 것도 그런 원칙 때문이다.”

-어떤 절차를 거쳐 기증하게 되나.

“상담을 통해 어떤 자료이고 어느 정도 가치가 있는지 조사를 한다. 소장자와 기증 절차를 합의하면 자료를 인수한 뒤 분류와 소독처리를 하고 원본은 지하 수장고로 옮긴다. 분량이 많으면 별도 문고를 설치한다. 고문헌은 훼손을 최소화하는 게 매우 중요하다. 원본을 스캔해 디지털 자료로 볼 수 있도록 하는 작업도 계속하고 있다. 고문헌도서관은 돈을 받고 구매하지 않고 철저하게 기증을 받는 걸 원칙으로 한다. 경남 지역 거점 국립대라는 공공가치를 강조하고 경남인이라는 자부심에 호소한다.”

-기억에 남는 기증자도 많을 듯한데.

“큰 개 두 마리를 키우던 기증자가 가장 생각난다. 자식들 다 도시로 보내고 할아버지와 할머니가 방대한 고문헌을 보관하고 있었다. 도둑 걱정 때문에 항상 한 명은 집을 지키는 생활을 몇십 년째 하고 계셨다. 해외여행은 고사하고 읍내도 함께 다니질 못했다. 개 두 마리도 도둑이 들까 걱정이 돼 키운다고 했다. 그런데 어느 날 도둑이 독약을 먹여 개 두 마리를 죽이고 고문헌을 훔쳐가는 일이 있었다. 결국 기증을 하기로 결심했다. 기증할 때만 해도 조상들께 죄짓는 것 같다며 슬퍼했는데 고문헌도서관에서 잘 관리하는 걸 보고 난 뒤엔 기증하기 잘했다고 하더라. 난생처음 부부가 함께 여행도 다녀왔다며 흡족해하는 모습을 보며 보람을 느꼈다.”

-고문헌을 전공한 계기가 궁금하다.

“경상국립대 한문학과를 다닐 때 산청군에 있는 서당을 다녔다. 경남에서 고문헌을 가장 많이 소장한 분이었는데 대청마루에 오래된 문서가 꼬챙이에 끼워져 주렁주렁 매달려 있었다. 벽장에도 고서가 가득가득 들어 있었다. 비가 새 책에 구멍이 난 걸 보면서 고문헌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게 중요하다는 걸 깨달았다. 대학을 졸업한 뒤 고등학교 한문 교사로 일하다 경상국립대 도서관에서 고서를 담당할 사서 제안을 받고 2001년부터 일하게 됐다. 고문헌도서관이 2016년 준공되면서 사서를 그만두고 학예연구사 경력채용으로 들어와 다시 고문헌 관련 일을 시작했다.”

- 서울신문 2022.05.11 강국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