훼손기록물 취급법·손상 예방법
페이지마다 종이 한 장씩 끼워 물기 흡수
양 많을 땐 비닐에 넣고 냉동 보관해야
복원 전문가가 없는 기록관리 현장에선 기록물의 훼손이 더 빈번하게 일어난다. 올해처럼 태풍이 유독 자주 몰려오면 기록관리 담당관들의 걱정은 더 커진다. 실제로 국가기록원 복원관리과에는 ‘물에 젖은 기록물을 어떻게 취급해야 하는지’, ‘어떻게 보관해야 하는지’ 등을 묻는 전화가 지금까지도 오고 있다. 기록물 초기 관리 방법에 대해 기고하게 된 이유이기도 하다. 응급 상황에서 사람을 살리려면 심폐소생술 등 초기 대응이 중요하듯 기록물 역시 마찬가지다. 오늘은 현장 실무자를 대상으로 교육하는 훼손기록물 취급법·손상 예방법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기록관리 담당관 외에 문서가 훼손돼 고민을 안고 있는 수재민, 일반인에게도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우선 기록물이 젖으면 바로 신문지 위 등 마른 장소로 이동시켜야 한다. 그리고 키친타월이나 신문지로 물기를 어느 정도 닦아 낸다. 다만 주의할 점은 기록물을 세게 뒤틀거나 눌러서는 안 된다. 기록물이 손상될 수 있기 때문에 ‘겉면만 살짝 닦아 낸다’는 느낌으로 해야 한다. 기록물 안쪽은 페이지마다 깨끗한 종이를 한 장씩 끼워 물기를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게 좋다. 그늘에서 바람으로 자연 건조하면 초보자들이 할 수 있는 복원 작업은 끝난다. 가끔 급한 마음에 강한 열을 내뿜는 헤어드라이어, 다리미를 사용하는데 오히려 역작용만 낼 수 있다. 시간을 두고 페이지 사이에 끼워 넣은 종이를 자주 갈아 주는 걸 추천한다. 아니면 제습기, 선풍기 등을 사용해 조급함을 달랠 수는 있겠다.
만일 젖은 기록물이 많으면 어떻게 해야 할까. 일정하게 양을 나눠 비닐에 넣고 냉동 보관하는 게 좋다. 곰팡이가 생기는 걸 막기 위해서다. 대략 48시간 이상 기록물을 방치하면 곰팡이로 인해 종이가 망가진다. 물론 습기가 많은 지역이나 장마 기간처럼 장소·시간 등 외부 변수에 따라 그 시간은 더 앞당겨질 수 있다. 책을 대량 보관하는 서고에 침수 피해가 발생하면 기본적으로 냉동 보관하는 과정부터 진행하고 조금씩 꺼내 작업하는 방식을 추천한다. 방치해 놓은 기록물은 전문가들도 손댈 수 없는 경우가 많다.
마지막으로 물에 젖은 게 아니라 종이가 오래돼 바스러지기 직전인 경우에는 최대한 접촉을 피해야 한다. 두꺼운 하드보드지를 사용해 기록물을 보관하길 바란다. 찢어진 종이는 일반적인 테이프가 아니라 얇은 섬유 테이프를 사용해 붙여 준다. 일반 테이프는 테이프 주변으로 종이가 찢어지거나 변색이 이뤄진다.
훼손된 기록물의 안전한 보존은 전문가와 일반인 구분 없이 모두가 지켜 나갈 부분이다. 훼손된 기록물을 발견하면 오늘 언급한 초기 대응 방법을 기억하고 꼭 실행해 봤으면 한다. 이보다 효과적인 처리는 없다. 일선 기록관리 현장에서 넓은 의미의 보존·복원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현장에 적용해 모든 구성원이 함께 기록물을 보존할 수 있기를 바란다.
-서울신문. 이현진 국가기록원 복원관리과 학예연구사. 2019.10.23
|